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직속기관

학습자 주도성’의 미래교육 적용 가능성 모색

  • 작성자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 등록일2021.07.01.
  • 조회수355
학습자 주도성’의 미래교육 적용 가능성 모색 이미지1
학습자 주도성’의 미래교육 적용 가능성 모색 이미지2







학습자 주도성의 미래교육 적용 가능성 모색

- 충북교육정책연구소, ‘학습자 주도성 교육정책아카데미 열어




충북교육정책연구소(소장 박을석)학습자 주도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주제로 30() 오후 2시에 제10회 충북교육정책아카데미를 개최했다.

 

교육정책아카데미는 충북교육정책연구소가 주관하여 주요교육정책과 교육이슈, 미래교육에 대해 저명한 강사를 초빙하여 강의와 토론을 통해 교육정책에 반영하기 위하여 개최하고 있는 행사이다.

 

이번 교육정책아카데미는 최근 학습자 주도성에 대한 저서를 저술한 경기도교육연구원의 남미자 미래교육팀장을 강사로 초청하여 요즘 교육계에서 화두가 되고 있는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담론을 깊이있게 검토하였다. 아카데미에는 김병우 교육감과 주요 교육정책담당자 및 연구원들이 함께 하여 강사와 2시간 동안 열띤 토의의 시간을 가졌다.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개념은 OECD가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기 위해 2015년부터 진행한 교육 2030 프로젝트에서 학습나침반과 함께 주요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학습나침반이 지향하는 교육의 최종 목적은 개인과 사회의 웰빙(안녕)이며 이를 위해 학생들이 자기 주변의 일에 관심을 갖고 책임감 있게 생각하고 참여하는 개념으로 학습자 주도성(Student Agency)이 제시되었다.

 

남미자팀장은 강의를 통해 다양한 미래 교육 담론들을 검토하면서 공교육에서 학습자 주도성이 필요한 이유와 사상적 흐름을 검토하고 공교육에 적용할 때 유의해야 할 접근 방식, 실현가능성 등에 대한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후 충북교육청의 교육정책 담당자 및 연구자들과 학습자 주도성이란 용어와 개념, 관점, 적용 가능성 등을 놓고 진지한 토의를 진행하였다.

 

김병우 교육감은 학습자 주도성 개념은 요즘 교육계에서 주요 논의 대상일 뿐만 아니라 충북교육청의 사람중심 미래교육에서도 반영된 것으로 미래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고민하고 모색하는 좋은 기회였으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로 교육정책의 방향을 점검해나가는 교육정책아카데미를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콘텐츠 만족도 조사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